해류 | 특징 |
대마난류 (Tsushima Warm Current, TWC) |
동중국해와 황해로부터 제주도 북쪽과 남동쪽으로 유입된 해류가 제주도 동쪽 해역에서 만나 대마난류를 형성 |
이는 다시 대마도에 의해 서수도와 동수도로 나뉘어져 흐름 | |
동한난류 (East Korean Warm Current, EKWC) |
대한해협의 서수도를 통과한 대마난류가 한국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난류 |
북위 약 37°-38° 부근에서 북동방향으로 이안한 후, 동해 중앙을 사행하며 쓰가루해협 쪽으로 흐름 | |
동한난류의 사행 진로는 해마다 변화함 | |
북한한류 (North Korean Cold Current, NKCC) |
북한 동쪽 연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로, 폭이 좁고 주로 여름에 강하게 남하 |
속초와 묵호 연안 해역은 동한난류의 약화와 여름철 북한한류의 발달로 연안에 냉수대가 발달할 수 있음 | |
리만한류 (Liman Cold Current, LCC) |
러시아의 남쪽 해안을 따라 남서진하는 해류로, 동해 북부의 추운 해역에서 저온과 해빙의 용융으로 인해 형성 |
일본연안분지 (Nearshore Branch of TWC, NB) |
대한해협을 통과한 대마난류의 일부가 일본 서쪽 연안을 따라 북동진하는 흐름 |
외해분지 (Offshore Branch of TWC, OB) |
대한해협을 통과한 대마난류의 일부 중 한국 남동해안에서 분기되어 동쪽으로 사행하는 흐름으로 수년의 변동성을 지님 |
해류 | 특징 |
쿠로시오해류 (Kuroshio Current) |
북태평양 중위도 아열대순환의 서안경계류로서, 북적도해류의 일부가 필리핀 동쪽해역을 따라 북상하다 대만과 요나구니지마(Yonagunijima) 섬 사이를 통해 동중국해로 유입됨. |
동중국해 유입 이후 오키나와 협곡을 따라 북상하다 토카라 해협(Tokara Strait)을 통해 북서태평양으로 유출됨 | |
고온·고염분의 해수로 구성 | |
류큐해류 (Ryukyu Current) |
류큐열도의 동쪽에서 류큐열도를 따라 흐르는 해류로, 오키나와 남쪽에서 큐슈 남부까지 존재 |
표층 아래에 그 중심이 있지만 표층에서도 나타남 | |
쿠로시오속류 (Kuroshio Extension) |
쿠로시오해류로부터 연결된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의 일부 |
북위 약 35°에서 찬 오야시오해류의 영향을 받아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사행 | |
북적도해류 (North Equatorial Current) |
북서태평양 아열대 순환의 일부로서 북동무역풍에 의해 북위 9-18° 사이에서 서쪽으로 흐름 |
필리핀 동쪽에서 갈라져 일부는 북상하여 쿠로시오해류와 연결되며, 일부는 남하하여 적도 반류를 이룸 | |
서안경계류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넓은 해역에 걸쳐 흐름 | |
아열대반류 (Subtropical Counter Current) |
아열대 해역의 서안경계 근처에서 아열대 순환과 반대로 동쪽으로 흐르는 해류 |
북위 20-25° 근처에 나타남 | |
오야시오해류 (Oyashio Current) |
동캄차카해류로부터 기원한 한류로 알루샨열도를 따라 남서쪽으로 흐름 |
북위 35-37°에서 쿠로시오해류와 만나 쿠로시오해류 아래로 침강 | |
동캄차카해류 (East Kamchatka Current) |
캄차카반도를 따라 남서쪽으로 흐르는 한류 |
아극해류 (Subarctic Current) |
쿠로시오해류와 오야시오해류로부터 혼합되어 형성된 해류로 알류샨 열도의 남쪽에서 동쪽을 향하여 흐름 |
해류 | 특징 |
황해난류 (Yellow Sea Warm Current, YSWC) |
황해 중앙부 깊은 골의 서쪽 사면을 따라 북상하는 난류 |
겨울철에 존재가 뚜렷함 | |
저층에서 강하게 나타남 | |
대만난류 (Taiwan Warm Current, TC) |
남중국해의 해수와 쿠로시오해류로부터 형성된 해류로 대만해협을 지나 동중국해로 흐름 |
겨울보다 여름에 강함 | |
제주난류 (Jeju Warm Current, JWC) |
제주도 남쪽의 동중국해 상에서 대만난류와 쿠로시오 큐수 서쪽 분지류의 영향을 받아 생성되며 제주를 시계방향으로 돌아 제주해협으로 유입됨. |
겨울철 세력이 서쪽으로 확장됨 | |
양자강 유출류 (Changjiang Discharge Water Flow, CDW) |
양자강으로부터 나오는 강물로 주변의 해수와 섞이며 저염수 형성 |
겨울에는 대체로 중국연안을 따라 남하하지만 여름에는 동중국해와 황해로 퍼지며 표층 물성에 영향을 줌 | |
여름철에 일부는 제주해협과 제주도 남쪽을 지나 동해로 유입 | |
한국연안류 (Korea Coastal Current) |
한국의 서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로 여름에는 북상하고 겨울에는 남하함 |
중국연안류 (Chinese Coastal Current) |
산둥 반도를 지나 중국 동쪽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 |